北주민 굶어 죽어도…김여정 디오르, 최선희는 구찌 '명품 사랑'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왼쪽), 최선희 외무상(가운데), 현송월 선전선동부 부부장이 각각 가방을 든 모습. NK뉴스, 조선중앙통신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을 수행한 북한 고위직 여성들이 명품 가방을 소지하고 있었다고 미국의 북한 전문 매체 NK 뉴스(NK NEWS)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16일 보도한 사진에 따르면 콤소몰스크나아무레의 유리 가가린 항공 공장을 방문한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든 핸드백이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구찌 핸드백이었다. 타조 가죽으로 만든 주미(Zumi) 모델의 이 핸드백은 지금은 생산되지 않지만 중고 시장에서 1만 달러(약 1330만원)에 거래된다.
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은 검은색 디오르 핸드백을 든 모습이 포착됐다. 김여정이 든 핸드백은 송아지 가죽으로 만든 레이디 디오르(Lady Dior) 고급제품으로 디오르사 홈페이지에서 7000달러(약 929만 원)에 판매되고 있다.
다만 현송월 선전선동부 부부장은 중국 웹사이트에서 8 달러(약 1만원)에 살 수 있는 중국산 핸드백을 들고 콤소몰스카나아무레를 방문했다.
북한 고위직 여성들의 명품 핸드백 사랑은 ‘자본주의 문화’가 북한을 파괴하는 무기로 비판하면서 단속하는 것과는 배치된다. 또 지난 2006년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결의 1718호에 따라 북한에 사치품 수출이 금지돼 있다.

(왼쪽부터) 2017년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이설주. 해외 명품 브랜드인 디오르 백을 비롯해 화려한 패턴의 패션을 선보였다. 중앙통신·노동신문=연합뉴스
하지만 북한 고위직들의 명품 사랑은 여전하다. 러시아 방문 때 김정은 위원장이 차고 있던 시계도 스위스제 IWC 샤프하우젠 시계였으며 과거 부인 이설주도 디오르 핸드백을 든 모습이 촬영됐다. 딸 주애는 디오르 외투를 입고 등장한 적이 있다. 김여정은 지난 7월 하순 중국 대표단이 평양을 방문할 당시 불가리 핸드백을 든 모습이 포착됐다.
호주 디킨대 인도주의 리더십 센터의 나자닌 자데-커밍스 부소장은 “북한 고위층들이 일반 주민들은 꿈도 꾸지 못할 물건들을 소지하는 것이 드문 일은 아니다”면서 “북한의 초고위층이 살아가는 방식과 평균적인 북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방식의 큰차이를 잘 알려준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 동안 북한 주민 가운데 1000만명 이상이 기아와 영양실조에 시달렸다.
相关文章:
- S.Korea's largest
- From traditional to trendy, three of Seoul's top yukhoe spots
- From traditional to trendy, three of Seoul's top yukhoe spots
- 2m Koreans opt out of life
- Seoul shares open higher on US gains
- Shimcheong
- BTS' Suga begins military service
- [Herald Interview] ‘Another Body,’ a riveting documentary on devasting effects of deepfake porn
- [view] 민심 더 싸늘해지는데…감동 없는 김기현 2기
- [Book Review] 'Lee Kun
相关推荐:
- Yoon lauds rapid growth of Korean defense industry
- Surveillance cameras to be a must in hospital operating rooms
- Ministry uncovers 1,802 Youth Protection Act violations
- S. Korea, US conduct underwater search operation for downed jet, Korean War remains
- HiteJinro to produce soju in Vietnam
- [Korea Beyond Korea] 'Funding drought jeopardizes interest in ancient Korea studies in US'
- US finalizes national security 'guardrails' for CHIPS funding
- Seoul shares close lower amid woes over Fed's drawn
- TvN Sports, CGV to screen Bundesliga’s first ‘Korean derby’
- Gangwon Forestry Exhibition 2023 kicks off in Korea's 'forest capital'
- Yoon lauds rapid growth of Korean defense industry
- [Today’s K
- One Store attracts W20b from Krafton
- TvN Sports, CGV to screen Bundesliga’s first ‘Korean derby’
- 김성원 여의도연구원장 "공천장사 지라시, 허위사실 유포로 고소"
- Yoon, doctors set to clash over medical school quota
- One Store attracts W20b from Krafton
- Beef prices have soared 100
- Yoon lauds rapid growth of Korean defense industry
- Yoon, doctors set to clash over medical school quota
- [Korea Beyond Korea] Early Koreanists on verge of extinction overseas
- Posco to build joint venture with US grain company
- '코로나 봉쇄' 북한, 국경 열었다…3년8개월 만에 외국인 입국
- [KH Explains] Lotte goes all
- Reconstructed Dondeokjeon hall in Deoksu Palace to open to public
- Will Kep1er disband? Project group eyes extension with 'Magic Hour'
- Benois de la Danse winner Kang Mi
- Court finds ban on leafleting into NK unconstitutional, ban on praise for NK constitutional